구글 웹마스터 도구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디자인/패키지디자인실무' 카테고리의 글 목록
[패키지디자인 실무] 단상자 검수할 때 의외로 놓칠 수 있는 3가지
[패키지디자인 실무] - 단상자 검수할 때 의외로 놓칠 수 있는 3가지 '명품은 디테일에서 차이가 난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패키지디자인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 얘기는? 거꾸로 얘기하자면, 디테일을 잡지 못하면 명품을 만들 수 없다는 것과도 같다. 오늘은 단상자들이 와르르 생산되고, 그 단상자를 직접 받아본 상황. 이 단상자를 검수해야하는 상황에서 의외로 놓칠 수 있는 디테일 3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단상자 제작 경험이 많이 없는 디자이너의 경우는, 생산된 단상자를 처음 받아들면 멀뚱멀뚱, 드디어 이 프로젝트의 고난역경을 뚫고 완성된 것인가,,! 기쁨과 설렘에 콩닥콩닥,,! 그리고 끝,,!하고 넘어갈 수가 있다. 그러나,, 이렇게 무심코 넘기는 것 자체가 또 다른 고난역경의 시작을 불러올 수..
더보기
[패키지디자이너 필수템] 캘리퍼(노기스) 초기본 사용법
패키지디자이너도 제품이라는 대상에 ‘옷’을 재단하고 디자인해서 입히는 재단사이자, 패션디자이너과도 같다. 오늘은 패키지디자이너와 뗄 수 없는 도구의 기본 사용법을 나눠보려 한다. 대체 어떤 도구일까? 이미 현장에서 뛰고 있는 패키지디자이너라면 잘 알겠지만, 신입에게는 생소할 수 있는 ‘캘리퍼’라는 장비다. (‘노기스’라고 칭하기도 한다.) 양장점에서 한 사람을 위한 정장 한 벌을 디자인한다고 할 때, 사람을 기준으로 무엇으로 치수를 잴까? ‘줄자’라는 장비를 사용해서 허리 둘레, 기장, 팔 둘레 등을 잰다. 이 때, 재단사가 이 줄자라는 유용한 도구는 있지만, 이 도구를 활용해, 정확히 치수를 재지 못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완성된 옷에서 팔이나 허리가 낀다거나, 기장이 생각보다 너무 길다거나, 하는 ..
더보기
감리 시, 개인 차량 없는 경우 어떻게 하나?(_패키지디자이너 감리/공장방문)
웹디자이너와 같이 오프라인 아웃풋을 내야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상관없다. 그러나 패키지디자이너는? 기본적으로 인쇄, 용기 생산, 인쇄,, 손으로 잡히는 결과물을 만드는 직업이다. 그렇다면 그 공장들은 보통 어디에 위치해있을까? 용기 공장들이 위치해있는 곳? 단상자를 인쇄하는 인쇄소라면, 충무로, 을지로와 같은 서울에 위치한 곳들도 많다. 용기 공장은 거의 앞선 경우와 다르다. 패키지 용기를 생산하는 공장은 규모도 있고, 기계들도 들어가있어야하고. 용기 생산에 있어 꽤나 큰 소음도 동반된다. 그래서 공장이 돌아가는 환경을 생각하면, 서울에 위치하기 힘들다. 그래서 서울 주변부에 공장들이 위치하고 있다. 이런 공단들은 인천, 화성, 음성, 파주와 같은 서울에서 꽤나 거리 있는 곳에 있다. 이런 곳에 화장품 용..
더보기
추운 날, 용기 실크 인쇄 감리 때 이거 놓치면 큰일남(_화장품 패키지디자인 용기 인쇄 감리/패키지디자인 신입 필독/인쇄감리 유의사항)
날씨가 청명하고 좋은 날이나, 비가 오나, 눈이 오나 패키지디자이너라면 감리보러 공장으로 이동해야한다 화장품 용기 디자인을 하고, 꼼꼼히 체크 후, 인쇄소에 데이터를 넘기고, 그리고 드.디.어! 감리의 날! 지금 이 글에서는 화장품 용기라고 한다면 튜브가 아닌 사출, 브로우 용기를 지칭해서 얘기할 것이다 (경력자 분들은 이미 잘 하고 계시겠지만) 신입인 경우는 용기 인쇄 감리를 간다, 하면 정말 '인쇄'에 초점을 맞추기 쉽다(_인쇄 내용이든, 컬러든) 사수나, 누군가가 인쇄 감리에 있어 유의할 점을 비롯한 체크리스트를 친절히 따로 챙겨주지 않는 한. 운이 좋으면 인쇄 감리를 잘 본 것만으로도 잘 넘어갈 수 있을 것이나, 그게 아니라면 감리 잘 본 일이 전혀 소용없어지는 일이 생길 수도 있다 대체 그런 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