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웹마스터 도구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화장품패키지디자인 실무] 처음부터 이것을 챙기지 않으면, 막판에 문제 생긴다
본문 바로가기

디자인/패키지디자인실무

[화장품패키지디자인 실무] 처음부터 이것을 챙기지 않으면, 막판에 문제 생긴다

728x90
반응형

이 패키지디자인 분야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은 생각한다. '패키지디자이너'라고 하면, 정말 제품을 포장하는 '외관'만 신경써서 디자인하면 되는 줄로. 굳이 따지고 보면 거의 다수가 그렇다고 보면 된다. 뭐, 그들이 이렇게 생각하는 건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몰라도 전혀 상관 없다.(일반인에게 패키지디자인은 인증 샷과 언박싱 후 쓰레기통 직행 신세. 안녕 잘가 내 피땀눈물들,,!)

 

그러나 정작 패키지디자이너가 이렇게만 알고, 정말 이렇게만 생각해서 디자인하게 되면? 그 작은 생각의 씨앗이, 훗날 꽤나 피곤한 후폭풍의 결과를 가져온다.(생각만해도 벌써 피곤 왕피곤 슈퍼피곤)

 

지금부터 하는 얘기는 이 글을 읽고 있는 패키지디자이너인 그대에게 훗날 있을 수 있는 이 유감스러운 일을 예방하길 바라며 하는, 유감스런 이야기 중 하나다.

 

패키징 작업이 순탄하게 진행되면 참으로 참으로 좋으련만. 패키지디자인 작업과정에는 무슨 모험과 신비의 나라도 아니고, 거의 롯데월드 3대 놀이기구 롤러코스터 저리가라 할 정도로 스릴이 포진해있다. (오해마시라. 글쓴이는 일을 좋아한다. 패키지디자인이 좋다고 믿어야해) 여러 고난역경 시련이 있는데, 오늘은 무엇 때문에 그러는데?

 

자, 얘기하려는게 어떤 상황의 문제인지 살펴보자.


상황

플라스틱 용기(브로우용기)를 사용했다 가정하자. 그리고 원하는 컬러가 있어서 실컷 용기 컬러를 잘 맞췄다. 그리고 감리도 잘 봤다. 오케이. 앗싸 이제 내용물 충진. 그런데 아뿔싸? 충진 후 완제품을 받아보니, 맞춰놓았던 용기 컬러가 달라졌네?

 

이건 어떻게 된 일인걸까?

 


이런 경우는 원인을 크게 2가지로 볼 수 있다.

1. 매우 어둡고 진한 컬러의 내용물

용기 컬러는 밝은 편이고, 내용물 컬러가 어둡고 진하다? 이런 조합으로 내용물이 용기에 충진된다면 어떤 일이 생길까? 진한 내용물 컬러가, 용기 바깥에서도 어둡게 비쳐보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용기 컬러가 의도했던 컬러와 달라보일 수 있다.

진한 내용물의 예시로는 LG생활건강의 헤어제품 브랜드 려의 한방샴푸 내용물을 들 수 있다.(려같은 경우는 처음부터 용기를 어두운 컬러로 해서, 진한 내용물이 용기 외관으로 봐서는 전혀 티가 안나게 잘 만들었음. 반대로 그 려의 용기도 새하얀색과 같은 밝은 컬러였다면, 분명히 그 짙은 내용물 컬러가 용기 밖으로 비쳐보였을 것이다.)

 

2. 용기의 원료가 반투명할 때

용기에 아무리 컬러를 넣어서 만든다고 해도, 안심하면 안된다. 용기의 원료 자체가 반투명하다면, 용기에 컬러를 넣어도, '컬러감있는 내용물'을 넣음에 따라 용기 컬러가 외관으로 또 의도했던 색상과 편차가 생길 수 있다.

 

본인이 의도한 완제품에서 편차를 줄이려면? 애초에 편차를 만들 수 있는 요소들을 고려해서, 가능하면 그 편차를 피하는 디자인을 해야한다.


위의 사례와 같은 일을 막기 위해서는 거꾸로 생각해야한다. 작업할 용기를 선택했다면, 그 용기를 본격 사용하기 전, 꼼꼼히 체크할 2가지를 정리해보겠다.

 

예방법

1) 사전에 내용물 컬러를 반드시 파악해놓기

에이전시 소속의 디자이너라면, 의뢰한 판매업자 측, 혹은 제조사 측에 내용물 컬러를 알려달라고 문의하자. 내용물 컬러가 백색이나 투명하다면, 비교적 덜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위에 언급한 사례와 같이 내용물 컬러가 어둡고 진하다면? 용기를 선택할 때 아래 2번 사항도 체크해야한다.

 

2) 용기를 만들 때 사용하는 '원료'의 컬러, 투명도를 확인하기(_반투명인지, 불투명인지)

만약 내용물이 다 들여다 보여야하는 투명 용기를 써야한다면 이건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만약 불투명한 용기를 사용해야한다면?

용기의 원료가 투명, 혹은 반투명한 기운이 있는지를 파악해야한다.(이건 업체 분에게 문의하자. 내용물 컬러가 이러한데, 내용물 충진해도 색상 변화에 큰 영향 없을지) 이럴 땐 용기에 색상 안료를 넣어서 생산해도, 내용물 컬러가 짙으면 용기 겉에까지 색상 비침으로, 그 용기 컬러 자체를 전체적으로 달라보이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용기 형태가 너무나 마음에 들어 선택했기 때문에, 그 반투명한 용기 원료를 쓴다고 하더라도 그 용기를 꼭 써야겠다면? 이렇게 해야겠다면, 그 편차를 고려해서 용기 컬러를 아예 짙은 색으로 의도해서 디자인하는 것도 방법이다.(그렇지만 이것도 얼만큼 내용물 컬러가 진하고, 용기 컬러는 얼마나 어둡냐에 따라 달라지는 문제)


'패키지' 작업 자체에 너무 집중해서 지금까지 이 글에서 얘기한 것들을 못 보거나, 간과하고 지나갈 수 있다. 이 글을 본 패키지디자이너 분들 가운데 잘하고 계신 분들은 계속 잘 해나가시면 되고, 몰랐던 분들은 좀더 업그레이드 된 시선과 꿀팁으로 현장을 멋지게 헤쳐나가보자. 건투를 빈다 제군들!

728x90
반응형